Posts [Database] charset과 collation
Post
Cancel

[Database] charset과 collation

MySQL 또는 MariaDB 를 사용하여 컬럼에 unqiue 제약 조건을 걸었더니 대소문자를 구별하지 않는 것을 새로 알게 되었고 그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즉, AAAaaa 와 동일하게 취급하여 유니크 제약 조건으로 인해 둘 중 하나의 insert가 안되는 것이다.

unquie 제약 조건을 추가하는 DDL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1
ALTER TABLE `테이블명` ADD UNIQUE KEY 제약조건명 (`컬럼명`);

그리고 해당 테이블 DDL 컬럼에는 아래와 같이 명시가 되어 있었다.

1
2
3
4
create table (
`column_name` varchar(255) COLLATE utf8mb4_unicode_ci DEFAULT NULL,
...
)

여기서 COLLATE utf8mb4_unicode_ci 가 의미하는 것에 대해 궁금증을 가지게 되었다.

COLLATE

COLLATE 은 텍스트 데이터 정렬(ORDER BY)할 때 사용한다.

즉, text 계열 자료형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속성이다.

주로 uf8_bin(utf8mb4_bin), utf8_general_ci (utf8mb4_general_ci), utf8_unicode_ci(utf8mb4_unicode_ci) 세 가지를 많이 사용한다.

uf8_bin

바이너리 저장 값 그대로 정렬하는 방식이다.

hex 코드(16진수)로 A는 41, B는 42, a는 61, b는 62이기 때문에

A -> B -> a -> b 의 순서로 정렬되어 출력된다.

utf8_general_ci

텍스트 정렬시 a 다음에 b 가 나타나야 한다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정렬 방식이다.

MySQL은 기본적으로 ci(case insensitive) collation 을 사용하기 때문에, 알파벳의 대소문자를 동일 문자로 취급한다고 한다.

라틴계열 문자를 사람의 인식에 맞게 정렬한다.

즉, A -> a -> B - b 의 순서로 정렬하게 된다.

utf8mb4_unicode_ci

general_ci 보다 조금 더 사람에 맞게 정렬한다.

한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 사용환경에선 general_ci와 unicode_ci의 결과가 동일하다.

뭔가 더 특수한 문자의 정렬 순서가 변경된다.

MySQL 에서 권장하는 charset과 collation

1) MySQL 5.5.3 이전 = utf8 charset에, utf8_general_ci collation 사용

2) MySQL 이 최신 = utf8mb4 charset에, utf8_unicode_ci collation 사용

utf8과 utf8mb4

charset utf6과 utf8mb4의 차이에 대해 궁금증을 가지게 되었다.

해당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너무 잘 설명해주고 있다.

https://sshkim.tistory.com/128

간단하게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UTF-8 문자 집합은 1~4 바이트까지 저장이 가능하게 설계되었다.(가변 바이트) 하지만 MySQL에선 utf83바이트 가변 자료형으로 설계하였고, 최근에 나온 4바이트 문자열(이모지 같은 것)을 저장하면 값이 손실되는 문제가 있었는데

이를 보완하여 가변 4바이트 UTF-8문자열을 저장할 수 있는 자료형을 추가한게 utf8mb4 charset이다.

image

MySQL(MariaDB)의 대소문자 구별하는 유니크 제약 조건 추가하는 방법

collation을 uf8_bin 으로 설정하고 유니크 제약 조건을 추가하게 되면

정상적으로 대소문자를 구별하여 유니크 제약 조건이 걸리게 된다.

즉, a와 A가 둘 다 다르게 인식되는 것이다.

참고로 charset 변경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1
2
3
4
5
-- sql
ALTER TABLE `테이블명` DEFAULT CHARACTER SET 캐릭터셋 COLLATE 콜레이션

-- 예시
ALTER TABLE `table1` DEFAULT CHARACTER SET utf8 COLLATE utf8_general_ci

출처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