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 https://mesh.dev/20210910-dev-notes-007-hexagonal-architecture/ https://happy-coding-day.tistory.com/entry/%ED%97%A5%EC%82%AC%EA%B3%A0%EB%82%A0-%EC%95%84%ED%82%A4%ED%85%8D%EC%B2%98He...
Reference https://medium.com/coupang-engineering/%EB%8C%80%EC%9A%A9%EB%9F%89-%ED%8A%B8%EB%9E%98%ED%94%BD-%EC%B2%98%EB%A6%AC%EB%A5%BC-%EC%9C%84%ED%95%9C-%EC%BF%A0%ED%8C%A1%EC%9D%98-%EB%B0%B1%EC%9...
메시지 큐 시스템을 다룰 때 중요하게 고민해야되는 부분 중 하나는 ‘메시지의 중복과 유실 문제’이다. 이와 관련된 메시지 큐 시스템의 ‘메시지 전달 보장 방식’과 ‘Kafka 에서 각각 어떻게 지원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자. 메시지 전달 보장 방식(Message Delivery Semantics) 메시지 전달 보장 방식은 다음과 같은 3가지가 존재한...
[Mobx] observable vs makeAutoObersable vs makeObservable
[학습할래] Mob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