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 밸런서 사용 시의 이슈 중 세션 관리 문제 로드 밸런서에 의해 이전 요청과 현 요청에 분배되는 서버가 다를 경우 세션 관리 일관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로드 밸런서 세션 관리 문제의 예시 1) 먼저 로그인 요청을 A서버로 보낸다. A서버의 세션에는 martin이라는 값이 저장되고 A서버에서는 로그인 성공이라는 응답을 보낸다. 2...
1)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 부하 분산을 위해 가상 IP를 통해 각 서버에 Request를 분배하는 기능 LoadBalancer 2) Scale Up, Scale Out 서버의 부하를 체크하여 서버를 늘리거나 성능을 향상 시키는 방식 스케일 업(Scale Up): 서버에 CPU나 RAM 등을 추가하여 서버의 하드...
사용한 커넥션을 커넥션풀로 다시 반환하지 못하게 되는 현상을 커넥션 누수라 한다. 아래 출처를 통해 다양한 포스팅들을 참고하면 이를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특히! Hibernate 멀티테넌시를 사용한다면 더욱 주의가 필요할 것이다 :) 참고 및 출처 https://velog.io/@rnjsrntkd95/Hikari-CP-%EC%BB%A4%EB%...
[Docker] Docker
[Backend] Refactoring(리팩토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