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 밸런서 사용 시의 이슈 중 세션 관리 문제 로드 밸런서에 의해 이전 요청과 현 요청에 분배되는 서버가 다를 경우 세션 관리 일관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로드 밸런서 세션 관리 문제의 예시 1) 먼저 로그인 요청을 A서버로 보낸다. A서버의 세션에는 martin이라는 값이 저장되고 A서버에서는 로그인 성공이라는 응답을 보낸다. 2...
1)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 부하 분산을 위해 가상 IP를 통해 각 서버에 Request를 분배하는 기능 LoadBalancer 2) Scale Up, Scale Out 서버의 부하를 체크하여 서버를 늘리거나 성능을 향상 시키는 방식 스케일 업(Scale Up): 서버에 CPU나 RAM 등을 추가하여 서버의 하드...
서버 모니터링 및 장애대응시 tomcat threadpool과 hikaricp 관련 메트릭은 중요한 요소다. (경험상 두 메트릭 지표 관련 장애를 몇번 겪었기에 더 뼈저리게 느끼고 있다) 이번 포스팅에선 AWS ECS 환경에서 스프링부트의 actuator 를 활용하여 DataDog 에 커스텀 메트릭을 연동했던 트러블슈팅 과정을 기록하고자 한다. 실...
[Backend] Debugging(디버깅)
[Backend] Refactoring(리팩토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