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 스키마 형상을 소스 코드가 아닌 DB 테이블로 관리하기 위한 툴로 flyway를 많이 사용한다.
flyway
flyway의 동작 방식과 관련해선 여기를 참고하면 이해하기 수월하다.
그리고 여기를 참고했을 때 DB 스키마에 변경사항이 생겼지만 스크립트 파일을 누락한 경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는 불상사가 발생하여 주의해야 한다고 한다.
토스 SLASH22 의 ‘지속 성장 가능한 코드를 만들어가는 방법’’ 에 대한 학습 내용을 정리하기 위한 목적의 TIL 포스팅입니다.🙆♂️ 햄버거 서비스의 생성자를 통해 해당 클래스가 어떤 클래스인지 암시적으로 들어냄. 너무 과한 의존성이 걸려있는게 아닌지 고민 필요 import 문을 기준으로 pa...
토스 SLASH23 의 ‘프로파일러로 시스템 성능 향상시키기’’ 에 대한 학습 내용을 정리하기 위한 목적의 TIL 포스팅입니다.🙆♂️ pinpoint MSA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요청은 여러 서비스들을 통해 처리되곤하다보니 한 서버의 문제가 다른 서버로 영향을 미치게됨 pinpoint는 분산 트랜잭션 툴 서비스간 호출 확인 및 어...
운영중인 서비스에 새로운 버전을 배포할 때 이상적인 방법으로 카나리 배포를 알게 되었다. 수 많은 클라이언트들이 사용중인 상황에서 배포하는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라 한다. 카나리 배포는 흔히 단계별 배포 또는 점진적 배포라 불리었다. 기존 서버로 들어오는 트래픽을 10%, 20%, 30% 조금씩 신규 서버로 옮긴다. 조금씩 트래픽을 옮기면서 이슈 사항...
[MSA] Kafka 도메인 이벤트 순서 보장하기
클린코드 내용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