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학습 내용을 정리하기 위한 목적의 TIL 포스팅입니다🙆♂️ Chapter1-협력하는 객체들의 공동체 객체지향의 목표는 실세계를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는 것이다. 협력하는 사람들 커피 공화국의 아침 손님, 캐시어, 바리스타는 주문한 커피를 손님에게 제공학 위해 협력하는 과정...
AWS Lambda 개요
아래 출처 포스팅이 정리가 잘 되어 있습니다. 기록용으로 남깁니다😊 출처 https://inpa.tistory.com/entry/AWS-%F0%9F%93%9A-%EB%9E%8C%EB%8B%A4Lambda-%EA%B0%9C%EB%85%90-%EC%9B%90%EB%A6%AC
JWT 저장 위치
액세스 토큰은 프로그램상 자바스크립트 로컬 변수에 저장하고, http 헤더에 bearer 토큰으로 담아서 매 요청마다 보내도록 하자. 액세스 토큰을 쿠키에 담으면 CSRF 공격에 취약해진다. 즉, 해커가 내 인증정보를 활용해서 서버에 나인것처럼 속여서 요청을 보낼 수 있게 된다. 로컬스토리지는 사용...
읽으면 유용한 Architecture 칼럼 모음
Reference https://medium.com/coupang-engineering/%EB%8C%80%EC%9A%A9%EB%9F%89-%ED%8A%B8%EB%9E%98%ED%94%BD-%EC%B2%98%EB%A6%AC%EB%A5%BC-%EC%9C%84%ED%95%9C-%EC%BF%A0%ED%8C%A1%EC%9D%98-%EB%B0%B1%EC%9...
도메인 주도 개발 시작하기 내용 정리
Chapter1-도메인 모델 시작 도메인 온라인 서점(쇼핑몰) 소프트웨어는 온라인으로 책을 판매하는데 필요한 상품조회, 구매, 결제, 배송 추적 등의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 이때 ‘온라인 서점’은 소프트웨어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 영역, 즉 도메인에 해당한다. 한 도메인은 다시 하위 도메인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림1.1] 도메인...
클린코드 내용 정리
Chapter5-형식 맞추기 프로그래머라면 형식을 깔끔하게 맞춰 코드를 짜야 한다. 코드 형식을 맞추기 위한 간단한 규칙을 정하고 그 규칙을 착실히 따라야 한다. 팀으로 일한다면 팀이 합의해 규칙을 정하고 모두가 그 규칙을 따라야 한다. 필요하다면 규칙을 자동으로 적용하는 도구를 활용한다. (ex. intellij의 codestyle이 이러한 도구 중...
DB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flyway
DB 스키마 형상을 소스 코드가 아닌 DB 테이블로 관리하기 위한 툴로 flyway를 많이 사용한다. flyway의 동작 방식과 관련해선 여기를 참고하면 이해하기 수월하다. 그리고 여기를 참고했을 때 DB 스키마에 변경사항이 생겼지만 스크립트 파일을 누락한 경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는 불상사가 발생하여 주의해야 한다고 한다. 출처 ht...
[MSA] Kafka 도메인 이벤트 순서 보장하기
MSA환경에서 Kafka를 활용한 데이터 동기화 포스팅에서 MSA환경에서 카프카를 활용하여 두 마이크로서비스간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한 방법들에 대해 알아보았고 아래 이미지처럼 4가지 경우의 수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도메인 이벤트별 토픽 나누는 방식에서 도출될 수 있는 문제(3, 4) 도메인 이벤트별 토픽을 나누는 방식(ex. order-cr...
[MSA] Kafka 도메인 이벤트 순서 보장 문제 해결기
https://jeonyoungho.github.io/posts/Kafka-도메인-이벤트-순서-보장하기 위 포스팅과 연관된 실제 도메인 이벤트 순서 보장 문제 해결 기록을 남기고자 합니다😀 배경 현재 MSA 환경에서 제품내 인사 데이터(코드, 조직, 구성원)는 Kafka 도메인 이벤트 기반으로 동기화 되고 있다. cms 서비스로부터 인사 데이...
[MSA] MSA환경에서 Kafka를 활용한 데이터 동기화
MSA 로 구성된 환경에서 카프카를 활용하여 도메인 이벤트를 기반으로 처리를 할 땐 아래 요소들을 고민해야 한다. 어떤 방식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것인지? (Full-Payload 방식 or Zero-Payload 방식) 토픽을 어떻게 나눌 것인지?(도메인 이벤트를 기준으로 나눌 것인지 or 도메인 기준으로 나눌 것인지) 위 두 가지 ...